
최근 인도네시아, 베트남 등과 같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뎅기열 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국내에 유입되는 환자도 늘어나고 있습니다. 뎅기열은 무엇이고 증상이 있으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[목차여기] 뎅기열이란 무엇인가? ✅ 사람에게 감염되어 생기는 병으로 뎅기 바이러스와 감염된 매개 모기에 물리면 발병하게 됩니다. ✅ 기후 변화로 인해 뎅기 바이러스 매개 모기가 증식하고 발생 직역 또한 확대되고 있습니다. 뎅기열 전파 ✅ 뎅기열은 동남아시아, 아프리카, 중앙 및 남아메리카를 비롯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. 우리나라 뎅기열은 모두 해외유입 사례입니다. ✅ 주로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를 통해 전파되지만, 드물게 혈액을 통해 전파가 되기도 합니다. 뎅기열 진행단계 (4..

말라리아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에서 올해 첫 작은빨간집모기가 발견됐다는 뉴스를 접했습니다. 작은빨간집모기는 일본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는 매개체로 이 모기에 대해 걱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. 일본뇌염은 무엇이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. [목차여기] 일본뇌염이란 ✅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매개되는 감염 질환으로, 감염자 약 250명 중 1명에서 증상이 나타납니다. ✅ 작은빨간집모기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야생 조류나 일부 포유류의 피를 빨아먹는 과정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되고, 이 모기가 다시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인체 내에 침투해 감염을 일으키는 것입니다. ✅ 특히 감염되더라도 일본뇌염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으로, 나타나는 경우 모기를 물린 후..

일본뇌염이나 파상풍처럼 3급 감염병에 해당하는 말라리아는 전 세계적으로 매년 2억 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하며, 우리나라도 매일 한 명 이상 환자가 발생할 정도로 안심할 수 없는 급성 열성 감염병입니다. 최근 모기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말라리아 등 모기가 매개하는 감염병의 확산 위험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말라리아란 무엇이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[목차여기] 말라리아란? ✅ 원충에 감염된 암컷 모기가 사람을 물어 전파되는 모기 매개 감염병입니다. ✅ 덥고 습한 날씨와 같이 모기가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만들어지면서 모기 성장이 빨라져 모기 개체 수가 급증했습니다. ✅ 우리나라는 매년 300~500명의 환자가 주로 5월~10월 사이에 발생합니다. 말라리아 증상 ✅ 초기에는 오한, 발..

폐암에 이어 암 사망률 2위인 간암은 우리나라에서 다른 나라보다 발생률이 2배나 높다고 합니다. 검진을 통해 조기 치료를 하게 된다면 사망률을 37% 나 감소시킬 수 있는 간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검진도 중요하지만,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지방간을 제거해 예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 지방간을 생기게 하는 원인은 무엇이며, 치료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[목차여기] 지방간이란 ✅ 지방간은 말 그대로 간에 지방이 많이 낀 상태를 말합니다. ✅ 지방이 간에 침착된 정도가 간 무게의 5%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. 지방간 원인에 따른 분류 ✅ 지방간 원인 ✅ 주로 복부비만, 당뇨병,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. ✅ 지방간 분류 ✅ 알코올성의 경우 술을 너무 많이 마시게 되어 간이 해..

갑자기 술자리가 잦아지게 되면 간건강에 대해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해 보게 됩니다. 특히 간은 '침묵의 장기'라는 말이 있을 만큼 특별한 통증이 없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. 알코올성 간질환에는 어떤 질환이 있고 관리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[목차여기] 간이란? ✅ 횡격막 아래 복부의 오른쪽 위에 위치한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이면서 알코올이나 각종 약물 등 우리 몸에 들어온 해로운 물질을 분해하는 해독작용을 합니다. ① 술이 해독되는 과정은 위와 소장에서 술을 분해하여 알코올을 흡수하는 것부터 시작되며, 소화기관에서 흡수된 알코올은 혈관을 거쳐 간으로 운반이 됩니다. ② 간으로 운반된 알코올은 ADH(알코올 탈수소효소) 또는 MEOS(마이크로슴 에탄올 산화 체계)를 통해 ..

특별한 이유 없이 피곤하고 무기력증이 지속된다면 우리 몸속의 필터 역할을 해주는 간에 이상이 있는지 한 번은 생각해보아야 합니다. 몸의 대사과정을 도와주면서 몸 안의 찌꺼기를 대소변으로 배출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간이 이상이 생긴다면 독소가 몸 안에 쌓여 건강에 이상을 주게 됩니다. [목차여기] 간이란? 우리 몸의 장기 중 가장 큰 간은 평균 1~1.5kg으로 몸무게의 약 2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 간은 알코올이나 각종 약물 등 우리 몸에 들어온 해로운 물질을 분해하는 해독작용을 하는 역할 이외에도 필수 영양소를 합성, 분비하며, 세균 침입을 차단하는 데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해 체내에 들어온 바이러스를 면역체계에 노출시킴으로써 체내의 자연스러운 면역작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. 간의 개념 ✅ ..